와인공부

독일 리슬링의 등급 체계 및 품질관련 표기

각꾸 2021. 10. 26. 12:00

독일 리슬링 등급

타펠바인: 재배지 구분이 없다. (EU 내 아무 밭에서 재배한 포도로 양조)
도이처 타펠바인: 독일산 포도로 만든 테이블 와인
란트바인: 스물여섯개 재배 지역이 정해져 있다.
크발리텔츠바인: 퀄리티와인. 13개 생산지역이 지정되어 있음. 이 단계까지 보당 가능.
프레디카츠바인: 최상급 리슬링, 가당이 허용되지 않음. 머스트(발효 전 포도즙)의 당도에 따라 6등급으로 나뉨.
재배 지역에 따라 최소당도는 조금씩 다름.

예를들어 모젤과 라인가우의 최소당도 기준은 다음과 같다. (단위: 웩슬레)

등급 Mosel Rheingau
카비네트 (Kabinett) 70 73
슈페트레제 (Spätlese) 76 85
아우스레제 (Auslese) 83 95
베렌아우스레제
(Beerenauslese),
아이스바인 (Eiswein)
110 125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 (Trockenbeerenauslese) 150 150

여기서 헷갈리면 안되는게, 위의 6등급은 머스트의 당도로 결정되는 것이므로, 와인의 당도가 아니라는 것.
아우스레제인데 트로켄(드라이)인 경우도 있음.

독일 우수 생산자연합 (VDP): 

병목에 VDP와 함께 독수리 마크가 그려져 있음. 독일 우수 생산자 연합에 가입된 생산자라는 의미.
VDP 와인 포도밭 등급은 다음과 같다.


그로스 라게는 그로세스 게벡스(G.G) 라고도 부름. 독일 드라이 리슬링 중 최고급.

 

와인 등급 외의 품질 기준 (표기법)
1. Goldkapsel 골드캅셀: 와인의 캡슐이나 호일이 황금색으로 되어 있음. 와이너리에서 기본급으로 만드는 와인들보다 더 품질이 좋다는 뜻에서 붙임.
2. *,**,***,**** : 와인명에 별표가 붙음. 다른 해보다 작황이 좋을때 붙이는 경우가 많은것 같음. 
3. 경매, auction lot number: 경매용 와인에 붙음. 자기 와이너리의 우수성을 보여주기 위해 좀 더 신경써서 만드는 바틀.
위와 같은 표기법을 쓰는 이유는 독일 와인법은 저 위의 6등급만 쓰게 되어있어서, 같은 등급에서 더 뛰어난 와인들을 알 방법이 없음.
생산자들은 본인 와인의 우수함을 어필하기 위해서 기본 명칭 외에 이런 표기법을 사용함.

반응형

'와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론 밸리 - 북부론  (1) 2023.01.22
와인의 숙성(병입 후)  (2) 2023.01.22
와인의 숙성(병입 전)  (1) 2023.01.22
(와인에서의) 환원이란 무엇인가?  (0) 2023.01.19
와인의 아로마  (0) 2021.04.21